Compound Interest가 인터넷에 범람하는 "터무니없는"과학 기사를 간파하고 속지 않기 위하여 눈여겨봐야 할 포인트 12개를 정리하였습니다.
◆ 01 : 과장된 제목
기사의 제목은 주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좋은 제목은 단순하다.
너무 호들갑스러운 제목에는 주의합시다.
◆ 02 : 장식
과학 논문을 인용할 때 오역은 물론 때로는 재미있게 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장식하는 것조차 있습니다.
◆ 03 : 정보의 신빙성
많은 기업이 과학 기사를 쓰기 위하여 자기부담으로 연구원을 고용하고 있습니다.
즉 "고용된 연구자의 생활이 걸려있다" 라는 것을 염두해 두고 있어야 합니다.
◆ 04 : 무리한 인과관계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에 주의를 기울입시다.
결과를 초래하는 요인을 단락적으로 결정하고 있는건 아닐까?
예를 들면 1800년 이후에 해적이 감소하고 있으며 또한 지구온난화도 1800년 이후에 발생하고 있습니다만 해적의 감소의 원인이 지구온난화가 아닌 것은 분명합니다.
◆ 05 : 추측 표현
"...일지 모른다" "가능성이 있다"며 "...처럼 보인다"등의 추측은 과학 기사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과학에서 요구되는 것은 "증거"와 "증명"입니다.
결론을 이끌수 있는 것은 실험 결과라는 객관적 사실뿐입니다.
◆ 06 : 너무 작은 샘플
샘플 수가 너무 적은 실험 결과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실험에 따라 샘플 수의 확보가 어려운 것도 있겠지만 샘플 수는 연구의 신뢰성에 비례하는 것은 명심해야 한다.
실험하는데 지장이 없는데 너무 샘플이 적다면 의심의 눈을 돌려야 합니다.
◆ 07 : 특수한 조건
실험조건으로 특별한 요소는 최대한 배제해야 합니다.
특별한 조건이 있는 것은 보편적이지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너무 특수한 조건의 경우에는 결과의 보편성을 의심해야 합니다.
◆ 08 : 대조실험이 없다
임상실험에서는 위약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대조실험을 합니다.
◆ 09 : 더블 블라인드 테스트가 없다.
피험자의 믿음에 의한 위약 효과를 피할뿐만 아니라 실험의 실시가 피험자에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감안하면 더블 블라인드 테스트는 유효합니다.
◆ 10 : 데이터를 편의로 선별
"바람직한 결론"을 인도하는데 용이한 데이터를 선별하여 작성된 문서는 신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 11 : 재현성 없음
실험 논문에서 결과를 발표한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연구자들로부터 검증 되어 처음 성과로 인정되는 것.
즉 실험결과는 재현성이 있는 것을 인정받아야 합니다.
◆ 12 : 권위를 맹신하지 마라
Nature와 Science 등의 권위있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필연적으로 권위가 부가된다.
그러나 권위있는 논문도 완전무결하지 않습니다.
연구 결과를 올바른 것이라고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피해야 한다.
또한 수많이 인용되는 논문도 과신이 금물인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출처 참조 번역
A Rough Guide to Spotting Bad Science | Compound Interest
http://www.compoundchem.com/2014/04/02/a-rough-guide-to-spotting-bad-science/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대하게 점화되는 불타는 남자의 상징 '더 맨' (0) | 2017.03.31 |
---|---|
"세상의 종말에서 당신이 후세대에게 단 하나의 단문만 남길수 있다면?" 저명한 과학자에게 질문한 결과는? (0) | 2017.03.31 |
붓자마자 얼어붙는 수수께끼의 액체의 정체는? (0) | 2017.03.30 |
"수익률 대박" 가상통화의 구입을 둘러싼 문제가 급증 (0) | 2017.03.30 |
일하는 방식의 개혁, 독일에 배워야 할 점 (0) | 2017.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