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현재 레드리스트에는 종의 38%가 멸종위기에 처해 있으며 전체 포유류의 25%가 지구역사에서 존재가 사라질 위기이다.
우리가 탄생하고 나서 멸종한 종류도 드물지 않고 매일 100여종의 생물들이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이 목록은 우리와 부모세대(1964년 - 2012년)가 태어난 후의 멸종한 것으로 되어있는 18종의 생물들이다.
1. 핀타섬의 코끼리거북이 2012년 6월 24일
마지막까지 살아남아 연구시설의 울타리 속에서 죽었다.
정확한 나이는 알수 없지만 100세를 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양쯔강 돌고래 2006년
2006년에 멸종이 선언되었지만 이 사진은 2007년에 찍힌 것으로 보인다.
살아는 있지만 후손을 남길수 없는 "기능적 멸종"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3. 서아프리카의 검은코뿔소 2011년
주로 카메룬에 살고 있었다.
1930년대에 보호조례가 발령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밀렵탓에 허무하게도 2011년에 멸종이 선언되었다.
살아남은 세 마리는 완전관리에 놓여있다.
4. 카리브의 몽크바다표범 2008년
마지막 한마리가 목격된 시기는 1952년이지만 멸종 선언은 2008년.
콜럼버스가 카리브에 도착했을때 몇 마리를 죽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1700년대와 1800년대에는 램프와 기계의 기름에 사용되어 대규모 남획되었다.
뉴욕수족관의 기록에 따르면 1900년대 초반에는 몇 마리 길러지고 있었던 기록이 있다.
이 바다표범의 멸종은 이 종의 코속에 서식하는 진드기의 멸종을 의미하기도 한다.
5. 카나리아제도의 검은머리 물떼새 1994년
서아프리카 카나리아제도 바다에 사는 이 도요류는 상업적 어업에 의한 어패류의 고갈에 의해 멸종하였다.
정확히 언제 마지막 한마리가 죽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현지 등대지기와 어부에 따르면 1940년즈음부터 목격되지 않았다고 한다.
80년대에 목격보고도 있었지만 1994년에는 공식적으로 멸종 선언이 나왔다. 오늘날 박물관에 네 마리의 표본 박제가 있을뿐...
6. 흰부리 딱따구리 1994년
미국 남부의 늪지대의 감소로 인해 서식지를 빼앗겨 마지막으로 모습을 목격된 것은 1940년대
7. 마리아나제도의 청둥오리 2004년
괌을 포함한 태평양의 3 섬에만 서식.
농업을 위해 습지가 없어지고 제2차 세계대전으로 섬이 황폐해져 서식지가 없어진 것이 멸종의 주요 원인.
마지막 야생의 짝짓기가 목격된 것은 1979년.
8. Dusky Seaside Sparrow 1987년
DDT 농약 살포에 의해 급격히 멸종.
마지막 한마리가 죽은 것은 1987년.
1990년에 공식적으로 멸종이 선언되었다.
9. 멕시코 회색곰 1964년
가축을 습격했다는 이유로 목장 관계자에 의해 살해되어 멸종.
1960년까지 30마리 밖에 남아있지 않았다.
1964년에 멸종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10. 자와호랑이 1994년
인도네시아 자바섬에 살고 있던 이 호랑이는 농장 건설을 위해 서식지를 빼앗겨 멸종.
11. 일본물개 1974년
상업적 목적으로 남획되고 세계대전에 의한 서식지의 파괴로 멸종.
1974년에는 마지막 새끼가 붙잡혔다.
12. 피레네 아이벡스 2000년
2000년이 스페인산 야생 벡스의 마지막 한마리가 쓰러진 나무에 명중하여 죽었다.
13. 황금두꺼비 1989년
이 코스타리카 두꺼비의 수가 왜 감소했는지 원인은 알수없다.
엘니뇨 탓에 지구 전체가 따뜻해지고 대기오염에 서식하던 습지가 말라서 멸종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14. Conondale Gastric-brooding Frog 1983년
수정란을 삼켜 성장시켜 완전한 개구리의 모습으로 뱉어내는 호주의 개구리. 1983년 실험실에서 사육되고 있던 마지막 한마리가 죽었다.
뱃속에 아이를 안고있는 동안은 위산의 분비를 억제할수 있으며
과학자들은 인간의 궤양의 치료에 이 개구리를 유용하게 활용하고자 희망을 품고 있었다.
15. 아라오토라호수의 논병아리 2010년
원래 마다가스카르섬의 호수에 살고 있었지만 서식지의 감소와 육식성 외래종 물고기에 먹혀 멸종했다.
16. Poʻouli or Black-faced Honeycreeper 2004년
왜래종의 서식지 파괴로 2004년에 마지막 개체가 죽었다.
17. 세인트헬레나섬 집게벌레 1967년
공식적으로 멸종위기로 분류되어 있지 않지만 이 곤충은 1967년 이후 발견되지 않았다.
18. 일본의 따오기 2003년
마지막 야생 따오기 5마리 모두를 붙잡아 보호센터에서 인공 사육중이다.
이에 따라 일본의 따오기 야생은 멸종하였다.
출처 참조 번역
https://www.buzzfeed.com/katienotopoulos/17-animals-that-became-extinct-in-our-lifetime?utm_term=.doZd22WWN#.yyG1qqoo9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로토닌의 작용과 효과는? 스트레스를 제어하기 위한 기초지식 (0) | 2017.03.16 |
---|---|
아이돌급의 귀여움을 겸비한 고양이 "데이지" (0) | 2017.03.15 |
멸종위기종 목록에서 제외된 동물들 10선 (0) | 2017.03.15 |
맥도날드 버거의 재료로 사용되는 심해어 "호키"가 멸종 위기 (2) | 2017.03.15 |
참치를 대체할 횟감으로 주목을 받고있는 거대 심해어 "붉평치" (0) | 2017.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