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콧(boycott)은 생각과 요구를 실현시킬 목적으로 불매, 거부, 배척 등을 실시하는 행위를 가르킨다.




보이콧은 주로 다음과 같은 행동을 가리킨다.

  • 단결하여 특정 인물을 배척한다.
  • 소비자가 동맹을 맺고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다 (불매 운동), 
  • 또는 서비스, 납세, 요금지불 등을 거부한다.
  • 사업자가 동맹하여 다른 사업자에게 상품의 판매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하지 않는다.
  • 수업이나 회의, TV 프로그램, 라디오 프로그램 등의 참석을 거부한다.



유래 


1880년경 아일랜드의 지주였다가 소농들에게 배척당한 찰스 보이콧 대위 (Charles Boycott)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시위로 본 보이콧


공권력 기관 (정부, 기관, 지자체) 및 법인 등 조직적이며 강한 힘을 가진 단체를 상대로한 시위로 보이콧을 할수있다.


역사상 유명한 보이콧으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이있다. 


이것은 1955년 미국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공영버스 운전사의 명령을 거부하고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것을 거부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로자 파크스가 인종분리법 위반을 이유로 체포되어 주 간이재판소의 벌금형을 선고받은 것을 발단으로 대중교통에서의 인종차별에 항의가 이루어졌다.


당시 가난한 흑인들에게 버스는 필수 교통수단으로 이용자의 75% 이상을 차지하던 흑인들이 버스를 이용하지 않고 동승하거나 도보를 이용했기 때문에 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시의 재정에 큰 타격을 주었다. 


연방대법원은 벌금형을 취소하고 버스내 인종분리는 위헌이라고 인정. 판결 다음날 보이콧이 종식되었다.


보이콧을 지도한 마틴 루터킹의 승리를 계기로 미국 전역에서 민권 운동을 전개하여 워싱턴 대행진 등 수많은 시위를 통해 공민권 법을 성립시켰다.




정치적 보이콧


국회 등 국회에서 다수당의 무리한 심의와 날치기에 대해 종종 보이콧이 이루어진다. 그 이유는 다양하다.


지방 자치단체의 주민투표 조례에 의한 주민투표에서 일정 투표율을 채우지 않으면 개표되지 않는데 투표를 기권하는 것으로 일정 투표율을 충족하지 못하도록 하여 개표를 저지하는 보이콧 운동도 보인다.


국제사회에서도 다양한 보이콧이 이루어지고 있다. 


냉전을 배경으로 한 1980년대의 올림픽 집단 보이콧 사태는 특히 유명하다.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항의하기 위해 일본을 포함한 서방국가가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을 집단 보이콧하고 1984년에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동구권이 1984년 하계올림픽을 집단 보이콧했다. 


그 이전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아프리카 국가가 보이콧 한 예도 존재한다.




기업에 대한 자연발생형 보이콧 


기업의 사회적 부정행위가 개인의 기업 제품, 서비스 기피로 인터넷을 통해 형태를 갖지 않는 보이콧 활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

노동 쟁의를 통한 보이콧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경제적 타격을 주고 자신의 단체의 목적 달성을 목표로하기 위해 자사 제품의 구매를 자제할것을 호소하는 행위이다. 


불매 운동이라고도 한다. 


원칙적으로 합법적이지만 사용자의 거래처에 자사와의 거래정지 내지 불매를  제의하거나 보조하는 불매 운동은 불법으로 되어있다.




TV 프로그램의 보이콧 


프로그램의 직원이나 제작사가 방송사와 출연자, 협찬사 등과 의도를 상반된 경우 출연 보이콧 · 협찬 보이콧 등의 소동이 일어날수있다.


출처 참조 번역

https://ja.wikipedia.org/wiki/%E3%83%9C%E3%82%A4%E3%82%B3%E3%83%83%E3%83%88

Posted by 말총머리
,